고객사 - 개발사, 퍼블리셔 & etc

게임현지화와 매출의 상관 관계 #1

LangShop 2023. 12. 13. 14:41

아래 내용는 외부 기고 글입니다.

 

 

‘1+1=2’라는 만고불변의 법칙처럼, ‘내 게임 + 언어 1개 현지화 = 수익 1만 달러’ 혹은 ‘내 게임 + 언어 3개 현지화 = 수익 5만 달러’ 와 같은 깔끔한 공식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정확한 답을 가지고 현지화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사 내부에서도 ‘뉴주(Newzoo)’나 기타 기관에서 공개한 정보 (유저 수, 판매량, 선호 장르, 플랫폼 등)를 기반으로 어떤 언어를 현지화할지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현지화와 매출’이라는 난제에 대하여 재미있는 시각으로 접근한 데이터가 있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현지화 업계 내에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고, 많은 독자를 보유한 현지화 전문 웹진 ‘Multilingual.com’에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연구에 쓰인 기초자료가 모바일 RPG로 한정되어 있어 다른 장르 및 플랫폼에 적용되기는 어려운 부분은 있습니다. 또한 유럽 시장의 시각에서 동아시아 국가 및 언어를 분석한 결과이기 때문에, 유럽 국가 및 언어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지화와 매출의 상관관계를 수치로 보여주어 보다 직관적으로 현지화와 매출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SUMMARY

발표한 자료를 요약해 보면

1. 가장 큰 모바일 시장은?

중국>일본>미국>한국 순입니다. 이미 대부분 아시는 내용입니다.

[그림 1] Top10 모바일 게임 시장

2. 가장 수익성이 높은 시장은? (RPG 장르 기준)

[그림 2] 동아시아 시장의 국가별 수익성 비교

이 부분도 예상과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단, 중국의 경우 안드로이드 마켓 데이터가 없어 그림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일본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현지화를 통한 언어 추가로 수익이 어느 정도 증가할까?

드디어 나왔네요. 이제부터 궁금해하시는 내용 일 텐데요. 일부 고객분들 중에는 매출을 늘리기 위해 번역이 가능한 모든 언어의 현지화를 결정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죠.

[그림 3] 언어 수와 국가 수에 따른 수익 크기 비교

위 그래프에서 53~54개 국에 25개 언어 이상으로 출시된 게임의 수익 버블이, 48~52개국에 15개 이하의 언어로 출시된 부분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블의 크기 = 수익의 크기) 즉, 동일한 국가에 동일한 게임을 출시한다고 해도 현지화를 통한 언어 추가가 매출을 크게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현지화 ROI 공식?!

게임 회사의 현지화 담당자라면 현지화 비용 산출 및 결제를 받을 때 대표님이나 사업 PM으로부터 최소 한 번쯤 받아본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지화하면 ROI가 어떻게 되는데?” 경영진 및 대표님들이 ROI를 참 좋아하십니다(소곤소곤).

Multilingual.com에서는 이걸 복잡한 버전과 간단한 버전의 공식 2가지로 제시했네요.

[그림 4] 현지화 ROI 공식 1

[그림 5] 현지화 ROI 공식

먼저 첫 번째의 다소 복잡한 공식은 매출, CPI, 다운로드 수, 현지화 비용, 평균 현지화 단어 수를 변수로 해서 만든 공식이고, 번째 공식은 좀 더 단순하게 수익에서 마케팅 비용과 현지화 비용을 뺀 후 현지화 비용으로 나눈 공식, 이렇게 두 가지를 통해 ROI를 산출했네요. 모두 복잡하든 단순하든 공식에는 관심이 없으실 테니 바로 결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그림 6] 동아시아 시장 현지화 ROI

공식의 결과표입니다.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첫 번째 결론으로, 국가별 ROI 효과는 시장의 크기에 비례하고 있습니다. 다만 좋은 게임(K#)을 현지화했을 때 그 효과가 가장 큽니다. (매번 업계 내에서 회자되는 주제였던, ‘좋지 않은 게임을 현지화해봐야 별 효과가 없다’는 걸 숫자로 보여주고 있네요.) 또한 동아시아 시장에서 CJK (Chinese, Japanese, Korean)는 전통적인 필수 현지화 언어임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유럽권에서 동아시아 시장의 현지화를 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제작된 연구이므로, 유럽 언어의 현지화 ROI가 없다는 점이 무척 아쉽습니다.

 

5. 비슷한 주제의 타 기관 연구 자료

현재 현지화 산업 전문 리서치 기관인 ‘Common Sense Advisory’에서 Global Revenue Forecaster (http://bit.ly/3bJvMvd)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기관에서는 이전에 비슷한 연구를 통해 200개 앱과 12개국의 자료를 토대로 현지화가 주당 26%의 매출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자료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다만 유료 자료입니다.

 

 


이번 기사를 통해 현지화에 대한 확신과 더불어, 관련 담당자분들의 경우라면 현지화 예산 승인을 받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